제2회 한일 차세대 미래포럼 참가후기 / 유정원



나는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일본어통번역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유정원이라고 한다.

 

한일포럼이 주최하고 코리아 플라자 히로바가 주관하여 실시한 프로그램인 제2회 한일미래포럼에

통역요원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첫째 날은 그룹워크를 했다각 팀을 나눈 다음각각 한국인과 일본인이 섞여 있는 그룹 이였다.

한국인이 생각하는 일본인은 한국인을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라는 주제로(일본인은 반대로한국인은 일본인을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서로에 대해쓰는 시간을 가졌다그 다음 한국인들과 일본인들이 서로 발표를 했다나는 일한 또는 한일로 통역을 했다그리고 나서 서로가 생각한 내용에 대해 각자가 코멘트를 달았다서로 토론도 했다그 중 주제를 좁혀서 1~2가지로 발표를 했다우리 팀은 한국인이 발표를 했기 때문에나는 일본어로 통역을 했다.

아사히 신문사의 서울 지부장님이 오셔서한일 미디어의 문제점개선 해야 될 점 , 미디어 소비자의 태도 등에 관한 연설을 진행 했고나는 그 중에서 현재 미디어가 말하는 것에 대해 통역을 했다공식적으로 통역을 해보는 것이 처음 이여서 중간 실수를 하기도 했다지부장님께서 다시 말씀해 주셔서 침착히 진행할 수 있었다한일관계를 악화 시키는 미디어의 영향에 대해서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에서 오는 점확대 해석일부러 여론의 관심을 끌려고 하는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그리고 이러한 미디어의 태도 이외에도 미디어의 소비자인 우리가 먼저 정보들을 제대로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얘기하셨다그러기 위해서는 같은 기사를 여러 종류의 신문사별로 읽을 필요가 있다고 하셨다그리고 가진 질문에서는 한일에 대해서 좋은 취지로 쓴 기사내용에 있어서내용도 읽지 않고 악플을 다는 일부 사람들에게 대한 대응법과 지부장님이 말씀하신 내용에 대한 질문들이 이어졌다질문시간이 끝나고서는 친목회를 가졌고지부장님도 동행 하셔서 좀더 궁금했던 점들을 질문 할 수 있었다친목회가 끝나고 나서 밤까지 다시 새로운 팀을 짜서 전반적인 한일관계에 대해 심층 토론을 했다.

둘째 날에는 포럼 위원장님 이신 사사야마씨의 프로그램이 있었다.

포럼의 주제인 한일관계의 미디어에 대해 문제제기 문제원인과 그 책에 대해 팀 별로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그 후팀 별로 기념촬영도 진행했다.

점심을 먹고 나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했다자신의 그룹 이외의 팀을 기성세대라고 생각하고,

각자 관심사 역사반일 혹은 반한 감정일본문화사회 세가지면에서 설득해서 한일관계를 우호적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발표했다발표를 끝낸 후에 위원장님의 말씀이 있은 후 기념촬영을 가짐으로써 제2회 한일 미래 포럼이 끝이 났다.

 

 포럼에 참가하면서 느꼈던 한일언어행동의 가장 큰 차이는 첫째발언권에 있었다.

질문도 상대적으로 한국학생들 쪽이 주도했고 의견을 제시할 때도 한국학생들이 더 활발히 의견을 냈다밤에 이루어진 토론 또한 한국학생들이 의견을 강하게 피력했다상대적으로 일본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을 강하게 주장하거나 의견을 내는 것을 좋아하는 한국학생들에게 밀려서 학생 분포수가 비슷했음에도 불구하고 더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기는 힘들었다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언어와 문화 때문에 그러한 차이가 나온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해서 표현을 직설적으로 한다의사표현 주장 등에 있어서 직설적으로 말하기 때문에 생각한 그대로 말을 하는 습관이 있다.

그러나일본인들은 조금 직설적으로 보이는 표현을 했을 때는 혹시 오해를 받을 까봐 먼저 말한 표현에 대해 부가적 설명을 해주거나 처음부터 돌려서 말을 했다일본어 자체가 완화된 표현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여기까지는 포럼에 오기 전에도 느꼈던 점이다하지만일본어 자체가 완화된 표현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란 것은 사사야먀 프로그램의 활동 중에 느꼈다.

미디어문제원인대책 등을 완성한 후 한 팀의 발표자만 남고 나머지 팀원은 다른 팀에 가서 발표자의 발표를 듣고 종이에 코멘트를 남기는 독특한 형식이 있었는데우리 팀에 남긴 일본 학생들 중 날카로운 일본어로 비판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같은 비판을 일본학생들과 한국학생들이 남겨 주었는데한국학생들은 오히려 조금 유한 방식으로 비판을 했다예를 들면 어떠한 점은 괜찮았는데 그 점에 대해서 이런 문제가 있다식이였다이두 활동을 통해 새로 알게 된 점은 일본인은 얼굴을 보고 말할 때보다,글로 코멘트를 할 때 더욱 잘 비판적으로 얘기할 수 있음 이였다.

한국인은 반대로 글로 나타낼 때 보다 얼굴을 보고 말할 때 더 비판적인 자세를 취했다모든 일본인과 한국인이 그렇다고 보긴 어렵겠지만한국인은 서로 아는 사이거나 얼굴을 보고 의견을 얘기 할 때 표현이 직설적으로 해도 오해가 생기지 않을 꺼라 믿고 마음껏 피력하는 반면에 일본인은 아는 사이거나 얼굴을 보고 얘기 했을 때 비판적 자세를 취하기 어려워 했다.

두 번째는 역사 인식에 대해서 한일이 상당히 다른 교육을 받고 있다는 것이었다일본인이 어떠한 역사 교육을 받고 있는지는 정확히는 모르지만늘 한국미디어를 통해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정보를 접해왔기 때문에 왜곡된 역사를 배울 것 이라고 생각했다예를 들면 한국 식민지에 대해서 아시아해방운동이나 한국을 문명화 시켜주었다는 등이다또는 전쟁을 미화해 군국주의,내셔널리즘 등을 가르칠 것이라고 예상했다아예 배우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생각에도 없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일본학생들은 특별히 한국식민지일본의 전쟁에 관심을 가진 학생이 아니라면 일본이 한국에게 어떤 정책을 행했는지는 모른 다는 것 이었다단순히 일본이 전쟁을 일으켰다는  단순한 결론만을 한 줄 정도로 알려 주는 것이 전부 라고 한다어떠한 가해를 행했는지에 대해서는 조금도 알려주지 않은 채 일본인들의 원폭피해만을 강조하고왜 원폭피해를 입게 되었는지에 대한 과정은 누락시킨 것이다그렇다 보니 일본인은 원폭피해를 본인들이 전쟁의 가해자였기 때문에 입은 피해가 아닌 따로 생각해서 일방적인 피해자로 보는 것 이었다.

한국은 일본인이 입은 원폭피해가 안타깝다고 생각은 되지만 전쟁을 멈추지 않아서 일어난 인과응보로 보고 그 원폭투하 후에야 한국이 독립을 했기 때문에 일본을 전쟁의 피해자로 보지는 않는다.  또 역사인식에서 비롯된 의문점 중 독특했던 것은 일본인들은 전쟁을 바라지 않기 때문에  아베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의 집단적 자위권등 우경화 형태를 취했다고 해도 한국인들의 과민반응 하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었다.

일본의 침략사실에 대해서 간단하게 배우는 일본인에 비해한국인들은 일본의 침략을 한국 고대부터 자세하게 배운다특히 일제강점기는 한국 근 현대사로 따로 분류 되어 심층적으로 배운다그렇기 때문에 일본이 우경화가 될 때 마다 역사적으로 침략을 많이 받았던 전례가 있기 때문에 예민해 지는 것이다역사교육의 차이에서 비롯된 역사인식의 차이는 한일관계에 있어서 의구심을 키워왔다고 생각되었다.

마지막으로 한일습관으로 봤을 때인구수를 비례했을 때도 일본인이 신문으로 미디어를 많이 접하고 한국인이 인터넷으로 미디어를 많이 접하는 것 이었다한국인은 인구수보다 핸드폰을 많이 갖고 있고 그 중 스마트 폰 이 거의 대부분이기 때문에 스마트 폰을 통해 인터넷으로 뉴스를 접하게 되었고 점점 신문의 역할을 대체 하게 되어 신문이 필요 없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은 편이다그에 반해 일본인은 신문을 스마트 폰 이 많은 요즘에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한국의 경우 인터넷으로 신문을 접하기 때문에 한가지 뉴스로도 다양한 시각으로 읽을 수 있는 점과 신문에 비해 확실성이 떨어진 정보가 많다는 점이 있었고일본의 경우 신문을 통해 접하기 때문에 정보성에 있어서 신뢰도가 있지만한가지 신문사를 읽는 경우가 많아 시각적으로 고정되게 볼 수 있는 점이 있었다.

 한일포럼에 참가하고 직접 일본학생들과 미디어정치역사경제문화사회 등에 걸쳐서 심층적 대화를 나누어알지 못했던 한일의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있었고오해하고 있었던 잘못된 정보들을 수정할 수 있어서 좋았다다음에도 이런 기회가 있다면 참가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