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교부, 일 문부과학성 발언 비판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이 27일 외교부에서 일본 문부과학성의 역사인식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
Wed
26
Mar
2014
![]() |
한국어로 인사하는 아베 총리
(헤이그=연합뉴스) 도광환 기자 = 25일 오후(현지시간) 미대사관저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총리가 "박대통령을 뵙게 되어서 반갑습니다"라고 한국어로 인사말을 건네고 있다.
|
헤이그 한미일 3자회담 첫 대면서朴대통령에 '성의 표시'
(베를린=연합뉴스) 신지홍 김남권 기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5일(현지시간) 한미일 3국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첫 대면한 자리에서 서툰 한국말로 인사했다.
박 대통령에 이어 모두발언을 한 아베 총리는 헤이그에 소재한 주네덜란드 미국 대사관저에서 열린 3국 정상회담에서 "오늘 우리가 미일한 3자 회의를 갖게 된 것을 굉장히 기쁘게 생각한다. 특히 오바마 대통령이 회의를 주재해준데 대해
대단히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한 뒤 오바마 대통령을 사이에 두고 자신의 오른쪽에 앉은 박 대통령을 쳐다보며 "박근혜 대통령님, 오늘 만나서 반갑습니다"라고 우리말로 인사했다.
아베 총리는 박 대통령의 취임후 지속적으로 정상회담을 제안해왔다. 하지만 그가 지난해 12월26일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고 고노담화의 수정시도를 하며 한일관계는 파탄 수준으로 악화됐고 박 대통령의 아베
총리와의 만남을 피해왔다.
그런 가운데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중재로 이날 첫 대면한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한국말 인사'라는 나름의 성의를 표시하며 관계개선의 의욕을 보인 것으로 외교가는 풀이했다.
이어 아베 총리는 "이것은 상당히 의미있는 일이고 이 3자 정상들이 기본적인 가치, 그리고 전략적 이해를, 함께 모여 여러가지 안보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은 의미있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우리가 일본, 한미일 3자 간에 북한 문제에
대해 긴밀하게 협력하는 것은 더욱 더 의미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3자의 단결된 협력을 통해 북한이 핵이라든지 미사일 문제에 대해 긍정적 대응을 하게되고 또 한국의 이산가족 문제에 있어서도 북한이 긍정적으로 대응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박 대통령은 "북핵 문제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중대한 위협이 되는데, 한미일 3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며 "이렇게 3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여 북핵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것 자체가 의미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 셋이 한꺼번에 만나 공통으로 직면한 심각한 도전과제를 논의할 첫 번째 기회"라며 "우리는 북한과 핵무기 프로그램이라는 관심사를 공유하고 있고 지난 5년간 긴밀하게 협력해 북한과의 게임을 바꾸는 데 성공했다.
이는 도발과 위협은 일치된 대응에 직면할 것이라는 강력한 신호를 평양에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shin@yna.co.kr
Sat
22
Mar
2014
![]() |
버락오바마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DB) |
![]() |
박근혜대통령(우)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EPA=연합뉴스DB) |
![]() |
Thu
20
Mar
2014
아베, 네덜란드 '안네 프랑크의 집' 방문키로
(도쿄 AP=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핵안보정상회의(24∼25일)에 참석하기 위해 네덜란드를 방문하는 길에 23일 수도 암스테르담에 있는 '안네 프랑크의 집'을 방문한다고 일본 정부 관계자가 20일 밝혔다. 안네 프랑크의 집은 독일 나치가 네덜란드를 점령했을 당시 안네 프랑크와 가족이 숨어 살았던 집에 세워진 박물관이다. 아베 총리는 이번 방문에서 최근 도쿄에서 벌어진 '안네의 일기' 훼손 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아베 총리가 이번 방문을 통해 역사에 관한 확고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평화 준수 의지를 보여주고자 한다고 말했다. 안네의 일기는 세계 2차대전 때 나치 박해를 피해 가족과 숨어 살다 1945년 15세의 나이로 숨진 유대인 소녀 안네 프랑크가 쓴 일기로,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지난달부터 도쿄의 도서관과 서점에서는 안네의 일기와 홀로코스트(나치의 유대인 학살) 관련 서적 300여 권이 찢기는 등 훼손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지난주 일본 경찰은 36세 남성을 용의자로 체포했다. rao@yna.co.kr |
Wed
19
Mar
2014
![]() |
와다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가 15일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의 한 카페에서 '고노(河野) 담화의 유지·발전을 요구하는 학자 공동성명'에 참여하게 된 배경과 향후 계획 등을 설명하고 있다. 와다 교수는 일본군 위안소의 생활이 강제적이었고 당사자의 의사에 반한다는 것은 명확하다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부정하려는 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
![]() |
신주쿠 거리의 와다 하루키 명예교수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가 15일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에서 연합뉴스와 만나 주변 지역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그는 이날 인터뷰에서 '고노(河野) 담화의 유지·발전을 요구하는 학자 공동성명'에 참여하게 된 배경과 향후 계획 등을 밝혔다. 2014.3.18 <<국제뉴스부 기사 참고>> sewonlee@yna.co.kr |
Sun
16
Mar
2014
![]() |
박근혜대통령이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 |
아베 "고노담화 수정 생각 없다" (AP/교도=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4일(현지시간)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
Sun
16
Mar
2014
![]() |
"日, 위안부 軍부대시설로 운영" 美전쟁문서 확인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제공)
|
"군의관이 금요일마다 성병검사…심하면 접대 불허"
연합뉴스, 국립문서기록청 비밀해제 문서 확인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 일본 정부가 '군 위안부'를 조직적으로 운영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군대 부대시설로 운영해왔음이 미군이 작성한 문서를 통해 확인됐다.
연합뉴스가 14일(현지시간)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을 통해 입수한 미군 비밀해제 문서에 따르면 미군 동남아 번역·심문소(SEATIC)가 1945년 4월 버마(현 미얀마)에서 체포된 일본군 포로를 심문하는 과정에서 일본군이 군대
위안부를 운영한 사실을 파악했다.
문서에 따르면 미군 당국은 포로를 상대로 '부대시설'(amenities)의 하나로서 위안부("comfort girls")를 두고 있는지를 심문했고 그 결과 만달레이주(州) 메이묘에 일부 위안부를 두고 있었다는 답변을
얻어냈다.
문서는 당시 위안부의 화대가 3.5∼5엔이었으며 일본군 병사의 월급은 24엔이었다고 밝혔다. 이 포로는 매달 10엔을 저축하고 나머지는 궐련을 사는데 썼으며 자신은 이용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문서는 1945년 4월28일 G.F 브룬다 육군 중령이 작성했으며 문서번호는 'OSS CONFINDENTIAL C.I.D XL8505'이다.
연합뉴스가 입수한 또다른 국립문서기록관리청 기밀해제 문서에 따르면 1945년 4월25일 미군 정보원이 중국 여자간호사를 인터뷰한 결과 일본 육군 군의관이 매주 금요일 중국 만주의 위안소를 방문해 '여성(위안부)'들을 상대로 정기
검진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이 위안소에는 1급으로 분류되는 일본 여성 20명, 2·3·4급으로 분류되는 한인 여성 130명 등 모두 150명이 있었으며 모두 성병에 걸려있었다고 문서는 밝혔다.
문서는 "군의관은 성병이 심하다고 판단될 경우 병사 접대를 허가하지 않도록 했다"고 전했다. 문서는 1945년 5월13일 중국 쿤밍지역에서 활동하는 제임스 게데스 소령이 작성한 것으로 문서 번호는 'CONFIDENTIAL JICA
R-565-CH-45'이다.
두 문서는 '군위안부'들이 일본군이 주재하는 지역에 대규모로 동원돼 '위안 활동'을 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본 군의관들이 위안부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했음을 확인해주고 있다.
이와 관련, 1993년 고노 요헤이(河野 洋平) 일본 관방장관은 담화를 통해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와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음과 모집 이송 관리가 감언과 강압 등에 의해 총체적으로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최근 일본 내 우익 인사들은 위안부 존재 자체를 부정하면서 일본 정부에 '고노 담화'의 검증을 요구해왔다. 특히 지난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일본 의회에서 '고노담화 재검토' 입장을 밝혔다. 이후 일본 극우
인사들은 "위안부 문제는 날조된 사실(史實)'이라는 망언을 쏟아냈다.
한편, 미국 법무부는 이 같은 비밀문서 등을 토대로 자체적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위안부 등 운영과 관련해 만행을 저지른 일본군 전범 16명을 1996년 12월 입국금지했으며 지금까지 이를 유지하고 있다고 연합뉴스에
밝혔다.
법무부는 그러나 기밀해제 시한이 되지 않아 구체적인 명단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rhd@yna.co.kr
Sat
15
Mar
2014
Thu
06
Mar
2014
<尹외교, '징집된 성노예' 표현 쓰며 日 작심 비판>(종합)
연설 절반을 '위안부 문제' 할애…국제공론화 주도 '고노담화 검증' 일본 압박 강화…책임인정.해결 촉구 (제네바·서울=연합뉴스) 류현성 특파원 강병철 기자 = 한일관계의 토대인 고노(河野)담화 수정 움직임까지 보이는 일본의 과거사 도발이 갈 데까지 가는 모습을 보이자 정부가 국제무대에서 전례 없이 강경하게 일본의 태도 변화를 압박하고 나섰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5일(현지시간) 우리 외교수장으로는 처음으로 유엔 무대에서 명시적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면서 일본을 조목조목 강하게 비판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특히 윤 장관은 영어로 진행된 이날 유엔 인권이사회 연설에서 일본군 위안부를 'comfort women(위안부)'이라고 지칭하면서 '일본 제국주의 군에 의해 징집된 전쟁 성노예 희생자(victims of wartime sexual slavery drafted by the Japanese imperial armed forces)'라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면서 영어로 '징집(draft)'이란 단어를 쓴 것은 드문 일로 일본군 위안부 강제 연행을 부정하는 듯한 일본의 태도를 염두에 둔 것으로 분석된다. 나아가 윤 장관은 이날 유엔 인권이사회 연설의 절반가량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할애하면서 이 문제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특정국의 이름을 거론하며 비판하는 것이 관례적으로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윤 장관의 이번 연설은 과거와 비교했을 때 우리 정부의 대일 대응 수위가 한 차원 더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 윤 장관은 연설문에서 일본의 고노담화 수정 움직임과 관련,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을 짓밟는 것", "반인도·인륜적 처사", "지난 20년간 유엔 인권 메커니즘이 일본 정부에 수차례 요청한 것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면서 대놓고 비판했다.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회피하면서도 여성 성폭력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하는 일본에 대해서도 "이중적 태도"라고 직설적으로 비난했다. 윤 장관의 고강도 대일 비판은 일본의 과거사 도발이 한계를 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담화는 일본의 침략전쟁과 식민지 정책 등을 사과한 무라야마(村山) 담화와 함께 한일관계의 기본 토대인데 일본이 이런 토대까지 무너트리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일본의 고노담화 재검토 움직임에 대해 "역사인식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비판해 왔다. 특히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라는 메가톤급 도발 이후 과거사 문제에 대해 자숙해야 할 일본이 오히려 고노담화 흔들기에 나선 것에 대해 우리 정부는 매우 심각하게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보편적 인권 문제로 여러 나라가 해당하며 유엔도 그동안 일본 정부의 책임을 인정했다는 점은 국제무대에서의 우리 정부 대응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와 관련, 윤 장관은 이날 연설에서 '2차 대전 중에 저질러진 최악의 인권 침해 사건인 잊혀진 홀로코스트(forgotten holocaust)를 폭로한다. 일본은 전쟁범죄에 책임을 지고 과거의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네덜란드 출신 호주인인 오헤른 할머니의 지난 2007년 미국 하원 청문회 증언도 소개했다. 또 유엔 차원에서 일본의 책임 문제를 그동안 분명히 밝혔다는 점을 국제사회에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1996년 쿠마라스와미 및 1998년 맥두걸 유엔 특별 보고관 보고서는 "폭력과 납치, 강제 그리고 기만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성노예화 했다"고 결론낸 바 있는데 이런 보고서를 거론하면서 일본의 고노담화 검증이 잘못됐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우리 정부의 대응이 높아짐에 따라 과거사 부정 행태를 보여 온 일본이 어떤 식으로 반응할지 주목된다. rhew@yna.co.kr, soleco@yna.co.kr |
Sat
01
Mar
2014
![]() |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AP=연합뉴스 DB)
|
위안부피해자 증언내용도 조사…아베정권, 고노담화 무력화 시동
(도쿄=연합뉴스) 김용수 특파원 =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8일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담화'를 검증할 조사팀을 정부내에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스가 장관은 이날 중의원 예산위원회 답변을 통해 "완전히 비밀을 유지하면서 정부 안에 (고노담화에 대한) 검토 팀을 만들어 한번 더 (담화가 작성된 경위 등을)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1993년 고노담화 작성시 일본 정부가 한국 측과 사전에 담화 문안을 조정했는지에 대해서도 "그 부분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졌는지 확실히 검증해 앞으로 어떻게 할지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검증 결과 고노담화를 대신할 새로운 담화를 낼 가능성에 대해서도 "어떻게 할지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스가 장관의 이러한 발언은 아베 정권이 일본군과 관헌의 위안부 강제 동원 사실 등을 어떻게든 기록 속에서 지워냄으로써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과 진상을 호도하려는 보수 우익세력의 움직임에 편승, 사실상 고노담화 무력화에 나선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는 이와 함께 고노 담화 당시 실시된 한국인 위안부 피해자 16명의 증언 청취 내용 검증과 관련해서도 "극히 어려운 일이지만 비밀을 유지하면서 한번 더 확인(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
스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례회견에서도 고노담화 작성 경위와 위안부 피해자 증언 내용을 조사할 검증팀을 정부내에 설치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검증 결과는 당장의 고노담화 수정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패전 70주년인 2015년 발표할 예정인 새 담화에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될 것이라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검증팀은 여러 명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조기에 검증팀 인선이 이루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민주, 공산당 등 일본 야당은 아베 정권의 검증팀 설치가 고노담화 수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반발했다.
시이 가즈오(志位和夫) 공산당 위원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고노 담화를 매장하려는 움직임은 중단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스즈키 가쓰마사(鈴木克昌) 생활당 간사장은 "외교에 새로운 파문을 일으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고노 담화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1993년 8월4일 자민당 정권하의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이 발표한 담화다.
고노 담화는 "(일본)군의 요청을 받은 업자가 감언, 강압으로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위안부를) 모집한 사례가 많고 관헌 등이 직접 가담한 일도 있었으며, 위안소 생활은 강제적인 상황하에서 처참한 것이었다"고 위안부 강제동원과
일본군의 관여를 인정하고 사죄했다.
yskim@yna.co.kr
Mon
24
Feb
2014
![]() |
독도문제전문가 호사카 유지 교수 (연합뉴스 DB) |
Sun
23
Feb
2014
![]() |
[ 한국일보 2013.2.22 기사 ]
일본서 수모 당한 한국인들 '파장'
■ 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강행차관급·의원 21명 참석 '준정부 행사'… 한일관계 경색전원 가방 검사 등 삼엄… 우익단체들 확성기 홍보한국 원정시위대 7명 日우익단체 회원과 몸싸움정부 "부당한 행사에 유감" 日 공사 불러 강력 항의 • 도쿄=한창만특파원 cmhan@hk.co.kr
• 도수호전국연대의 최재익 회장 등 회원 7명은 이날 현청내 다케시마 자료실 근처에서 일본 정부를 규탄하는 결의대회를 개최하려다 현장에 있던 일본 우익단체 회원 10여명과 몸싸움을 벌였다. 경찰이 진압에 나서면서 현장은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연합뉴스
일본이 22일 '다케시마(竹島ㆍ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행사를 강행했다. 박근혜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식을 사흘 앞두고 독도 야욕을 노골화한 행사가 일본의 차관급 당국자가 참석한 준정부행사로 치러지면서 한일 관계의 경색이 불가피해졌다. 시마네현의 주민 잔치에 불과하던 행사가 이처럼 커진 것은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등과 맞물려 일본 내 관심이 증폭됐기 때문이다. 이날 기념식이 열린 시마네현 마쓰에시 현민회관에는 시마지리 아이코(島尻安伊子) 해양정책ㆍ영토문제 담당 내각부 정무관(차관급)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의 아들인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郞) 자민당 청년국장 등 현역 국회의원 21명이 참석했다. 정관계 및 우익단체 인사, 주민 등 500명도 식장을 메웠으며 일본 언론은 예년의 3, 4배에 달하는 120여명의 기자를 파견했다. 이 자리에서 시마지리 정무관은 "다케시마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며 "정부는 물론 국민 전체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미조구치 젠베에(溝口善兵衛) 시마네현 지사는 "한국이 다케시마 점거를 기정사실화하려는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어 유감"이라고 말했다.
시마네현 의회는 ▦다케시마 영유권 국제사법재판소 제소 ▦다케시마의 날 정부 행사 승격 ▦다케시마 문제 교육 과정 부각 등을 담은 요청서를 시마지리 정무관에게 제출했다. 행사장을 항의 방문한 최재익 독도수호전국연대 회장 등 7명이 일본 우익단체 회원 10여명과 몸싸움을 하고 김점구 독도수호대 대표가 토론 제안서를 시마네현에 제출하려다 경찰에 의해 격리되는 등 물리적 충돌도 발생했다. 경찰은 최 회장 등을 보호 명목으로 차량에 태워 별도 장소로 데려갔다. 행사를 주최한 시마네현은 경찰을 동원, 참석자 전원을 대상으로 가방 검사를 하는 등 행사장 주변은 종일 삼엄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그런 가운데서도 일본 우익단체 회원들은 오전부터 버스 10여대를 동원, 마쓰에시 전역을 돌며 확성기 홍보를 했다. 시마네현은 1905년 2월 22일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방적으로 시마네현에 편입한 지 100주년이 되는 2005년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했고 이듬해인 2006년부터 기념행사를 열고 있다.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맞서 한국에서는 반대 시위가 잇따랐다. 독도사랑회, 독도NGO포럼, 독도사수연합회 등 10여개 시민단체 회원 50여명은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은 다케시마의 날 지정을 철회하고 관련 행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부산 주한 일본영사관 앞에서는 우리물산장려운동본부 등 12개 단체가 규탄 집회를 개최했다. 외교통상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일본은 부당한 영유권 주장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 "일본 정부가 부당한 행사에 정부 인사를 파견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준용 동북아국장은 구라이 다카시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를 불러 한국 정부의 입장을 담은 외교문서를 전달하고 강력 항의했다. 그러나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일본 고유의 영토이기에 (정무관을) 파견했다"고 밝혔다
Fri
21
Feb
2014
"재미일본계, 글렌데일 軍위안부 소녀상 철거 소송"
산케이 신문 보도…"연방정부 외교권한 침해" 주장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재미 일본계 인사들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시의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을 철거하라고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한다고 산케이신문이 21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글렌데일과 로스앤젤레스 주변에 사는 일본계 주민들이 만든 '역사의 진실을 요구하는 세계 연합회' 회원들이 원고로 나서기로 했으며, 이들은 21일(현지시간) 변호사를 통해 캘리포니아주 중부지구 연방지법(로스앤젤레스 소재)에 소장을 제출할 예정이다. 원고 측은 "위안부 문제가 일본과 한국간의 외교문제가 된 상황에서 '위안부는 강제적으로 모집돼 극심한 대우를 받았다'는 한국 측 주장에 근거해 글렌데일시가 소녀상을 설치한 것은 연방 정부의 외교 권한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소장에 담았다고 산케이는 소개했다.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은 지난해 7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 시립공원 앞에 해외 최초로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을 말한다. 글렌데일 시정부는 일본군 위안부를 기리는 소녀상을 세우겠다는 한인 시민단체의 요청을 받아들여 시립도서관 앞 시립공원의 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했다. jhcho@yna.co.kr |
Fri
21
Feb
2014
![]() |
지난해 12월 일본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 참배하는 모습이 TV로 보도 되고 있다. (연합뉴스 DB) |
![]() |
버락오바마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DB) |
Fri
21
Feb
2014
![]() |
'다케시마의 날' 항의방문단 출정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배정현 기자 =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독도수호전국연대 회원들이 일본 시마네현 '다케시마의 날'에 항의하는 항의방문단 출정 기자회견을 벌이고 있다. (자료사진) 2013.2.20 doobigi@yna.co.kr |
Fri
21
Feb
2014
![]() |
▲ 홋카이도 에베츠역에서 폭설로 인해 정차하고 있는 열차의 모습. (ⓒ마이니치신문) |
Fri
21
Feb
2014
![]() |
지난2009년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표기)의 날' 조례 제정 4주년 기념식 행사장안에서 독도를 형상화한 제품을 전시, 판매하고 있는 장면. (자료사진, 서경덕 제공) |
Tue
18
Feb
2014
朴대통령 "위안부소녀상 방문사진 우리국민 감동시켜"
로이스 美하원 외교위원장 접견…"위안부 문제 빨리 해결돼야"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에드 로이스 미국 연방 하원 외교위원장을 접견하고 "최근 로이스 위원장님이 보도된 사진 한 장이 우리 국민 모두를 감동시켰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대표단을 이끌고 방한한 로이스 위원장과 만나 이렇게 언급하고, "글렌데일에 있는 위안부 소녀상을 방문하시고 최근에 작고한 황금자 할머니를 조문하신데 대해 국민들이 감동을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의회에서 역사 인식 문제에 대해 촉구하시고, 이것은 역사 문제를 떠나서 전쟁 중 여성 인권에 관한 문제인데 여기에 대해 결의안을 실행하도록 촉구하신데 대해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소녀 시절에 일생을 잊지 못할 아픔을 겪었던 수많은 할머니들이 다 돌아가시고, 작년에 한 분 또 돌아가시고 해서 55분밖에 남지 않았다"면서 "이 문제도 빨리 해결되는 게 시급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로이스 외교위원장은 지난달 말 LA 북부 글렌데일시의 평화의 소녀상을 찾아 헌화하는 한일간 과거사 갈등 때 우리 측 입장을 줄곧 지지해온 친한파 인사다. 로이스 원장이 이끄는 하원 외교위 대표단은 하원 아ㆍ태 위원장과 유럽ㆍ유라시아 소위원장 등 주요 다선의원 등으로 구성됐다. south@yna.co.kr |
Mon
17
Feb
2014
脫원전 여론 여전히 높아…경기회복 효과 가계엔 '아직'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중·고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이하 해설서)에 '독도는 일본땅'이라는 주장을 담은데 대해 일본인 70%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미우리 신문이 지난 14∼16일 전국의 성인 남녀 1천65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문부과학성이 최근 중·고교 교과서 제작과 교사의 지도 지침이 되는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를 '일본 고유 영토'로 명기한 데 대해 76%가 '평가한다'고 답해 '평가하지 않는다(14%)'는 응답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또 산케이 신문이 지난 13일 수도권에 거주하는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같은 질문에 대해 찬성이 73.2%, 반대가 20%로 나타났다. 지난 9일 치러진 도쿄 도지사 선거에서 탈(脫) 원전을 주장한 후보들이 패했지만 산케이신문 조사결과 아베 정권이 추진 중인 원전 재가동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50%로, 찬성(45.4%) 응답보다 많았다. 마이니치 신문이 15∼16일 성인 남녀 1천35명을 상대로 벌인 여론조사에서도 원전 재가동에 대해 반대가 52%에 이르렀지만 찬성은 39%에 그쳤다. 한편, 마이니치 조사에서 아베 정권 출범(2012년 12월) 이후 경기 회복을 실감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75%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실감하고 있다'는 답은 21%에 그쳤다. 더불어 오는 4월 소비세를 5%에서 8%로 인상하면 가계 지출을 줄일 것일 것이냐는 물음에 65%가 '줄일 것'이라고 답했고, 31%는 '줄이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또 아베 정권 출범 이후 정상회담을 한 차례도 하지 못한 한국, 중국과의 관계개선을 '서둘러야 한다'는 응답은 54%,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답은 38%로 나타났다. 아베 내각 지지율은 요미우리 조사에서 60%, 산케이 조사에서 59.8%, 마이니치 조사에서 52%를 각각 기록했다. jhcho@yna.co.kr |
Mon
17
Feb
2014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독도수호대 김점구 대표는 일본 시마네(島根)현을 방문해 독도문제에 대한 공개토론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김 대표는 지난 2005년 시마네현이 2월 22일로 지정한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기념식에 항의하기 위해 오는 19일 출국, 시마네현이 설립·운영하는 다케시마문제연구회(회장 시모조 마사오,
下條正男)에 공개토론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 제안은 2011년, 2012년에 이어 세 번째다. 재작년에는 시마네현이 제안서를 받았으나 공식 회신을 하지 않았고, 이듬해는 토론 제안서 접수 자체를 거부했다.
redflag@yna.co.kr
Sun
16
Feb
2014
![]() |
한국 도착한 케리 美국무장관 (성남=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아시아·중동 지역 순방에 나선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공항에 도착, 전용기에서 내리고 있다. |
Sun
16
Feb
2014
![]() |
이하라준이치(伊原純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연합뉴스DB) |
Sun
16
Feb
2014
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차관급 파견 검토"
실행되면 정부 당국자 첫 파견…취임식 앞두고 한일관계 파장일듯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이 오는 22일 시마네(島根)현이 주최하는 '다케시마(竹島·독도에 대해 일본이 주장하는 자기식 이름)의 날' 행사에 차관급 인사를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예상된다. 16일 아사히 신문 보도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은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현직 참의원(상원) 의원이자 차관급인 시마지리 아이코(島尻安伊子) 내각부 정무관을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타케시마의 날 행사에 정부 당국자를 보낸 적이 없다. 아이코 정무관 파견은 영토 문제에 단호하게 임한다는 정권의 기조를 보여주려는 의도라고 아사히는 풀이했다. 직전 민주당 노다 정권 시절인 작년 4월 도쿄에서 초당파 국회의원들 주최와 시마네현 후원으로 열린 독도 영유권 주장 집회에 야마구치 쓰요시(山口壯) 외무성 부대신이 참석한 적은 있었다. 작년 2월 22일 시마네현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는 당시 여당인 민주당 소속 2명을 포함해 국회의원 13명이 참석했었다. 앞서 시마네현은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아베 총리를 초청했다. 그러나 오는 25일 한국의 대통령 취임식이 예정된 만큼 총리가 직접 가거나 각료를 보내기보다는 그 아래의 정무관을 보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라고 아사히는 전했다. 일본 정부의 한 고위 당국자는 아사히와 인터뷰에서 정무관 파견이 "민주당 정권 때의 대처보다 후퇴한 인상은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마네현은 지역 어민들의 동해 어업권에 대한 불만 등을 기초로 2006년부터 매년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정해 기념행사를 열어왔다. 이 날은 시마네현이 1905년 독도를 일방적으로 편입한다고 고시한 날이다. jhcho@yna.co.kr |
Sun
09
Feb
2014
Sun
09
Feb
2014
"일본, 軍위안부 동원·운영 직접 관여 증거 나왔다"
상하이 점령시 위안소 허가·관리…사무실·주택 징발도 한·중 학자들, 상하이 공동 학술회의서 연구성과 발표 (상하이=연합뉴스) 한승호 특파원 = 일본군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위안부를 강제 동원하고 위안소를 운영하는 데 직접 관여했다는 단서가 되는 공식 문건들이 한국과 중국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이는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와 보상을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위안부 문제 논의의 새로운 전기가 될 전망이다. 한혜인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원은 중국 상하이(上海) 당안관(국가기록보관소) 소장 자료 분석을 통해 1937년 상하이에 진주한 일본군이 위안부 동원과 위안소 개설에 직접 관여한 공문서를 확인했다고 8일 말했다. 한 연구원은 이날 상하이시 구이린(桂林)로에 있는 상하이사범대학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중국·일본 학술회의'에서 최근 발굴한 문서를 공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표적인 문서로 상하이당안관에 소장돼 있는 '시민(중국인) 양수이창(楊水長)이 푸상(浦上)로 6번지에 개설한 위안소 상황에 대한 안건'(R-3-134)을 들었다. 1939년 2월 25일 상하이경찰국장이 상하이시장에 보고한 이 공문서는 중국인 양수이창이 위안소 개설을 위해 당시 상하이를 점령한 일본군 헌병대와 육군경비대에 행정 허가를 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는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양씨가 개설한 이 위안소는 중국인이 드나들지 못하는 '일본군 전용'이었으며 통역과 15세 여성을 포함한 7명의 위안부를 고용해 운영됐다. 한 연구원은 "이런 문서는 일본군이 중국 괴뢰정부를 이용해 군 위안소를 개설하고 관리하는 제도를 만들어갔다는 것을 확인해준 것"이라며 "일본군이 직접 부녀자를 강제 연행하고 친일 중국인 업자를 이용해 위안소를 개설한 공문서도 있다"고 말했다. 또한 샤베이(夏배<초두 밑에 倍>) 난징(南京)당안관 책임자도 최근 확인된 1938년 일본 강점기 괴뢰정부의 위안부관련 공문서를 통해 일본군이 위안소 운영에 직접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 괴리정부 위생국이 작성한 것으로 일본군 위안부 정기 신체검사 내용이 상세하게 기재돼 있는 자료를 확인했다"면서 "일본군이 중국인 기업 사무실이나 3층짜리 주택도 마구잡이로 빼앗아 위안소로 활용했다는 시민들의 피해 사례를 기술한 자료들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들 사례 가운데는 갑자기 재산을 빼앗긴 중국인이 일본군에 생활비를 달라고 요청하자 극히 적은 생활비를 주기도 했다는 자료도 있으며 당시 한국인과 중국인의 일본군 위안부와 관련한 적나라한 피해상을 보여주는 자료들도 있다고 전했다. 이번 학술회의에 참석한 한국과 중국, 일본 등 학자들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법적 책임 문제 등을 논의하면서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한·중·일 대표인 이신철 성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 부핑(步平) 전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장, 후지나가 다케시(藤永壯) 일본 오사카산업대 교수 등은 이번 회의가 위안부 문제 연구에 대한 국제연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후지나가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전쟁시기 여성의 잔혹한 인권침해 문제이자 보편적인 인류 양심에 관한 문제이기도 하다"며 "최근에는 상황이 점점 최악으로 치닫고 있지만 일본은 마땅히 사과하고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hsh@yna.co.kr |
Sun
09
Feb
2014
"일본, 2001년엔 美 웨스트버지니아 주지사 협박"
전쟁포로 출신 "뉴욕총영사가 '경제관계 끊겠다' 서한"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 동해병기 법안을 놓고 미국 버지니아 주지사를 협박했던 일본 정부가 지난 2001년에는 전쟁포로 보상문제와 관련해 웨스트버지니아 주지사를 협박했던 것으로 7일(현지시간) 드러났다. 2차대전 당시 일본군에 붙잡혀 강제노역 생활을 한 에드워드 잭퍼트씨는 지난 6일자로 '내셔널 인터레스트'에 기고한 글에서 "일본은 웨스트버지니아주에서 전쟁포로에 대한 공식 사과와 보상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무산시키려고 버지니아주에서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고 증언했다. 잭퍼트씨에 따르면 웨스트버지니아주 하원의 운영위원회는 2001년 일본 정부로 하여금 2차대전 당시 일본군 포로가 돼 비인간적 처우를 받았던 미국인들에 대해 사과하고 보상하라는 공동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그러나 이듬해 본회의에 상정된 결의안은 계속 심의가 지연됐고 그 과정에서 주미 일본대사관 소속 뉴욕총영사는 웨스트버지니아 주지사와 의원들에게 서한을 보내 "만일 결의안이 통과되면 웨스트버지니아와 일본 사이의 긍정적인 협력과 견고한 경제적 교류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잭퍼트씨는 "일본은 웨스트버지니아의 석탄과 철강을 구매하지 않으려고 했다"며 "일본의 경고는 성공적이었고 그 결과 상·하원 어느쪽도 그 결의안을 다시 들여다보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일본 정부가 일제 때의 역사를 옹호하고 전범 책임을 지지 않기 위해 경제적 협박을 쓰는데 익숙해 있다"고 지적했다. 잭퍼트씨는 미국 육군 항공대 기술병으로 있던 1942년 5월 필리핀에서 일본군에 붙잡혀 일명 '지옥선'으로 불리는 수송선을 타고 일본에 끌려갔다. 이어 미쓰이, 신일본제철, 쇼와 덴코, 니신 등 일본 기업에서 비인간적 처우를 받으며 강제노역 생활을 했다. 잭퍼트씨는 "미국과 연합군 포로들을 끌고가 강제노역에 이용한 일본 기업은 60개를 넘어서며, 대부분 지금도 존재하고 있고 버지니아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중 어느 한군데도 강제노역 사실을 확인하거나 사과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버지니아인들은 한때 홀로코스트 학살에 사과하지 않는 프랑스 국영철도 회사인 케올리스가 왜 버지니아철도익스프레스(VRE)와 용역계약을 맺었느냐고 문제제기를 한 적이 있다"며 "그런데 지금 (포로들을 강제노역시켰던) 스미토모와 가와사키, 미쓰이가 만든 열차가 버지니아철도를 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당시 일본기업의 '공장수용소' 환경은 나치 수용소의 비인간적 상황과 맞먹는다"며 "테리 매콜리프 버지니아 주지사는 일본의 위협에 맞서 주(洲)와의 계약을 원하는 일본 기업들을 상대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자산조사'를 해야할 시점이라고 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잭퍼트씨는 "어떤 주지사도 외국정부가 주 정부를 협박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된다"며 "매콜리프 주지사는 학교의 어린이들이 어떤 교훈을 배우기 바라는지 선택해야 한다. 지리명칭에 대해 합리적 대안이 있다는 것과 주지사가 협박에 흔들렸다는 것 중에 하나를 말이다"라고 지적했다. 버지니아주 공립학교 교과서에 동해를 일본해와 함께 병기하도록 하는 법안은 6일 버지니아주 하원을 통과했으며 매콜리프 주지사의 서명만을 남겨두고 있다. rhd@yna.co.kr |
Fri
07
Feb
2014
"日정부, 美정치권 대상 軍위안부 조직적 로비"
2개 로비업체 고용…1년간 7억7천만원 지급
(워싱턴=연합뉴스) 이승관 특파원 = 일본 정부가 미국 정치권을 상대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조직적인 로비를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미국 의회전문매체 '더힐'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워싱턴DC의 '호건 로벨스'와 '헥트 스펜서 앤드 어소시어츠' 등 최소 2개의 로비업체를 고용, 위안부 문제에 대한 미국 정치권의 움직임 등을 면밀하게 파악했다. 실제로 호건 로벨스가 법무부에 제출한 문건에는 지난해 7월 공화당 의원들이 400여명의 재미 한인단체 지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한 발언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문건에는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이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시장을 언급하면서 위안부와 관련한 발언을 했지만 일리애나 로스-레티넌(공화·플로리다) 하원의원은 이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포함되는 등 상당히 구체적인 로비활동 내역을 담고 있다. 호건 로벨스는 또 비슷한 시기에 마이크 혼다(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과 로이스 위원장 등이 '종군위안부 결의안' 통과 6주년 행사에서 한 발언 등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미국 내 일부 지역의 위안부 관련 광고, 법안, 기념비 등에 대한 자료도 수집한 것으로 밝혀졌다. 헥트 스펜서는 이와 별도로 지난해 5월 로이스 위원장이 하원 회의장에서 하시모토 오사카 시장의 위안부 모욕 발언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한 연설 내용 등을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호건 로벨스에 지난 2012년 9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52만3천달러(약 5억6천400만원)를 지급했으며, 헥트 스펜서에는 같은기간 19만5천달러(약 2억1천만원)를 준 것으로 확인됐다. 한인시민참여센터(KACE)의 박제진 변호사는 더힐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은 이른바 '일본군 위안부법'을 막으려했지만 통과되면서 침묵을 지키고 있다"면서 "이들은 위안부 문제를 애써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주미 일본대사관은 최근 버지니아주(州) 의회의 '동해병기' 법안을 차단하기 위해 워싱턴DC의 대형 로펌인 '맥과이어우즈 컨설팅'을 고용해 로비 활동을 벌였으나 법안이 상·하원을 잇따라 통과하면서 이런 노력이 무위로 끝났다. humane@yna.co.kr |
Wed
05
Feb
2014
(도쿄=연합뉴스) 이충원 특파원 = 일본이 독도 문제 전담 부서를 설치하기로 한 것은 이 문제를 시마네현에서 중앙 정부 차원으로 격상했다는 의미가 있다.
일본에서 독도 문제가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시마네현 의회가 2005년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 조례를 통과시키면서부터다.
한국 정부가 시마네현의 움직임에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한일간 독도 갈등이 심화됐다.
Sun
02
Feb
2014
"주지사 서명 막아라" 日동해병기 '조직적 로비' 파문
연합뉴스, 주일대사관-美로펌 계약문건 입수…외교적으로 전례없어 7만5천弗 입법저지 로비 계약…각계각층 '저인망'로비 전모 드러나 사사에 대사, 계약체결 일주일후 매콜리프 주지사에 '협박편지' 발송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 주미 일본대사관이 미국 버지니아주 의회의 동해병기법 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대형로펌과 거액의 용역계약을 맺고 각계각층을 상대로 광범위한 조직적 로비를 벌여온 사실이 공식 확인됐다. 외국 공관이 주재국 지방자치단체의 특정 입법활동을 저지할 목적으로 노골적인 정치적 개입행위에 나선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어서 외교적으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이 같은 사실은 연합뉴스가 1일(현지시간) 미국 법무부의 FARA(외국로비공개법) 자료를 통해 공개 입수한 주미 일본대사관과 워싱턴 대형로펌인 맥과이어우즈 컨설팅간 용역계약서 문건에서 드러났다. 계약은 지난해 12월19일 주미 일본대사관의 미즈코시 히데아키(水越英明) 공사와 맥과이어우즈 부사장간에 체결됐으며 맥과이어우즈 측은 외국로비공개법에 따라 지난달 24일 계약서 사본을 법무부에 신고했다. 계약서에는 맥과이어우즈 측이 앞으로 버지니아주 의회에 상정된 동해병기법안 통과를 저지하기 위한 대응방향과 로비전략의 전모가 상세히 담겨있으며 로비스트로 활동할 부사장급 4명을 포함한 6명의 신원이 구체적으로 공개돼있다. 맥과이어우즈 측은 먼저 이번 계약의 목표를 버지니아주 의회의 동해병기 법안을 무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지난해 12월과 올 1,2월 등 석달간 대응논리 개발과 지원세력 포섭, 주의회 및 주정부 상대 입법저지 로비 활동을 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맥과이어우즈 측은 ▲동해병기 법안이 왜 '나쁜 정책'인지에 대한 백서와 논점 개발 ▲일본측 대변인 역할을 하는 개인과 전문가, 학자 포섭 ▲동해병기 운동을 전개하는 '미주한인의 목소리'(회장 피터 김)에 대항할 이해관계 조직 확보 ▲우호적인 언론매체 파악 ▲일본해 표기를 지지할 '풀뿌리 연대'를 발굴하는 것을 초기 활동으로 규정했다. 이어 지난달 8일 버지니아주 의회의 첫 회기가 시작되기 전에 상원의 민주당과 공화당 지도부, 상임위와 소위 소속 의원들을 중심으로 가능한한 많은 의원들을 만나 집중적인 로비를 펴는 전략을 제시했다. 맥과이어우즈 측은 한인단체들이 주로 북(北) 버지니아에 소재하고 있는 점을 거론하며 북버지니아 이외의 지역에 속한 의원들을 중점 공략해야 한다는 아이디어도 제공했다. 특히 지난해 12월 당시 당선인 신분이었던 테리 매콜리프 주지사를 집중 로비대상으로 삼은 사실이 공식 확인됐다. 맥과이어우즈 측은 "법안이 의회를 통과해 주지사 책상 앞에 올라갈 것에 대비해 새로운 주지사를 상대로 로비를 펴야 한다"며 "주지사는 법안에 '비토'(거부권)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입법과정으로 볼 때 마지막 임시방편에 해당한다"고 강조했다. 또 "매콜리프 주지사가 동해병기 법안을 지지하고 있지만 우리가 모든 사실들을 제공했을 경우 설득될 수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계약 체결 일주일 뒤인 12월26일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 주미 일본대사는 테리 매콜리프 주지사에게 "법안에 서명할 경우 경제관계에 손상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하는 협박성 서한을 보낸데 이어 지난달 22일에는 직접 리치먼드로 내려가 매콜리프 주지사를 만났다. 당초 한인사회에 동해병기법을 지지한다고 공약했던 매콜리프 주지사가 올들어 뚜렷한 이유없이 입장을 바꾸고 오히려 법안을 저지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 것은 이 같은 일본 측 로비의 결과로 풀이되고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주미 일본대사관 측이 맥과이어우즈 측에 제공할 비용은 석달간 7만5천 달러(매달 2만5천 달러, 한화 총 8천만원 상당)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외교전문가는 "외국공관이 연방정부가 아닌 자치단체의 입법을, 그것도 찬성로비도 아닌 반대로비를 하기 위해 대형 로펌을 동원하고 있다는 것은 외교적 결례를 넘어서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주미 일본대사관의 이 같은 총력 로비 속에서도 동해병기 법안은 지난달 23일 상원을 통과한데 이어 30일 하원의 첫 관문인 교육위원회 소위(초중등교육)를 통과했다. 이어 교육위원회 전체회의가 3일 오전 열릴 예정이며 하원 본회의는 이달 중순께 소집될 것으로 전망된다. rhd@yna.co.kr |
Sat
01
Feb
2014
日관방장관 "일본측 위안부만화 철거 극히 유감"
(도쿄=연합뉴스) 김용수 특파원 =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프랑스 앙굴렘국제만화페스티벌에서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연행은 없었다는 내용의 일본 측 작품이 철거된 데 대해 31일 "지극히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스가 장관은 이날 정례 회견에서 일본 측 만화 작품 전시를 페스티벌 주최 측이 거부한 것은 "만화제 취지에 맞지 않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한국 정부가 이번 만화제에서 기획전을 주도, 위안부 문제에 대한 독자적인 주장을 선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스가 장관은 일본 측이 대항조치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 등을 설명하는 문서를 현지에서 배포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도 이날 기자들에게 만화제 취지를 거론하며 유감을 표명했다. yskim@yna.co.kr |
Tue
28
Jan
2014
![]() |
독도와센카쿠열도를 '일본영토'로 명기한 일본 고교 교과서들 (교도=연합뉴스DB) |
Sat
25
Jan
2014
日저지로비 뚫고 본회의서 가결…하원 통과 남겨둬 사사에 주일 美대사, 매콜리프 주지사 만나 로비 확인< WP> 일본 로비받은 민주당 의원 막판 수정 시도했으나 불발 (리치먼드<美 버지니아州>=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 미국 버지니아주 공립학교 교과서에 '동해'(East Sea)와 '일본해'(Sea of Japan) 병기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주 상원을 통과했다. 버지니아주 상원은 23일(현지시간) 낮 12시 버지니아 주도인 리치먼드 소재 의회 의사당에서 본회의를 열어 데이브 마스덴(민주) 상원의원이 발의한 법안을 찬성 31표, 반대 4, 기권 3표로 가결처리했다. 미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공립학교로 하여금 학생들에게 '동해'를 가르치도록 한 법안이 상원을 통과된 것이어서 역사적 상징성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미국 주재 일본 대사관이 법안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대형 로펌을 동원, 총력 로비전을 전개한 가운데 의미가 더욱 커 보인다.
이와 관련해 사사에 겐이치로 주미 일본 대사는 22일(현지시간) 리치먼드에서 테리 매콜리프 버지니아 주지사와 윌리엄 호웰 주하원의장을 만나 동해병기 법안을 부결시킬 것을 요구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이날자로 보도했다. 외국 주재대사가 외교정책과 관련해 대형 로펌을 고용하고 주지사와 의원들을 상대로 로비를 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일본은 4명의 로비스트를 고용해 버지니아 주의회가 추진하고 있는 동해병기 법안을 저지하는데 총력을 기울였으나 결국 실패했다고 WP는 전했다. WP는 특히 사사에 대사가 지난해 12월 공식 취임 전인 매콜리프 주지사에게 서한을 보내 동해병기 법안에 반대할 것을 촉구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양국 경제관계가 손상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측의 로비에 따라 매콜리프 주지사의 측근으로 알려진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도널드 매키친 의원이 이날 오전 갑작스럽게 동해 병기법안을 사실상 무력화하는 수정안을 제출했으나 결국 부결됐다. 또 법안 표결에 앞선 토론과정에서 데이브 마스덴, 챕 피터슨, 재닛 하월 의원 등은 찬성의견을 개진했으나 매키친 의원은 반대의견을 냈다. 이번에 통과된 법안은 버지니아주 교육위원회가 승인한 모든 교과서에 '일본해'가 언급될 때는 '동해'도 함께 소개해야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앞서 버지니아주 교육위원회는 지난 13일 소위와 지난 16일 전체회의를 열어 이 법안을 통과시켰다. 2012년에도 같은 내용의 법안이 버지니아주 의회에 상정됐으나 상원 상임위 표결에서 무산된 바 있다.
동해병기 법안의 상원 통과에 따라 최종 관문에 해당하는 하원이 조만간 심의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원에도 상원에서 통과한 법안과 유사한 내용으로 팀 휴고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을 비롯해 의원 11명이 초당적으로 발의한 법안이 계류돼 있다. 그러나 버지니아주 하원은 민주당이 장악한 상원과 달리 공화당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다 주미 일본 대사관이 총력 로비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법안 통과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하원은 내주부터 소위 심의에 들어가고 본회의 표결은 다음 달 중순께 마무리될 전망이다. 동해병기 운동을 주도적으로 펼치고 있는 한인단체인 사단법인 '미주 한인의 목소리'(VoKA)의 피터 김 회장은 법안 통과 뒤 기자들과 만나 "미주 한인 역사 111년 동안 한국 이슈가 법안으로 만들어져 의회를 통과한 것은 처음"이라며 "특히 일본이 전문 로비스트들을 동원해 법안을 막으려고 노력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아마추어가 프로를 상대로 이긴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회장은 그러나 "상원 통과가 매우 기쁘지만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이 남아있다"며 "일본의 로비를 뚫고 하원까지 최종 통과시키려면 막판까지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법안이 하원까지 통과하면 주지사 서명을 거쳐 오는 7월 1일부터 공식 발효된다. rhd@yna.co.kr |
Sat
25
Jan
2014
|
Sat
25
Jan
2014
Wed
22
Jan
2014
[세계일보]일본에서 알제리 인질극 참사의 후폭풍이 거세다. 여권은 일본인 7명이 숨진 이번 사건을 계기로 법을 고쳐 자위대를 해외로 보내 일본인을 구출해야 한다고 아우성을 치지만 정부의 정보수집이 너무 미국에 의존하고 있고 아프리카 외교도 미흡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일본 정부와 자민당은 자위대를 해외에 파견해 일본 국민을 구출할 수 있도록 자위대법을 개정하기로 했다고 요미우리신문 등이 22일 보도했다. 자민당은 28일 개원하는 정기국회에 자위대법 개정안을 제출하기로 했다. 이시바 시게루 당 간사장은 21일 "안전이 확보되면 민간 항공사가 가면 되는 것 아니냐"며 현장 안전확보라는
자위대 파견 전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명당 이노우에 요시히사 간사장도 정부 입법을 전제로 "자위대법 개정을 포함해 일본인을 보호할 방법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현행 자위대법은 긴급사태가 발생한 국가의 공항이나 항구에 자위대 항공기나 함선을 파견해 일본인을 구출 및 수송할 수는 있다. 하지만 반드시 현장 안전을 확보한 뒤에 육로 수송이 아닌 공중과 해상으로 수송하고 정당방위에만 무기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晉三) 정권의 외교력이 도마에 오를 조짐도 엿보인다. '전후사의 정체' 등을 쓴 전 외무성 국제정보국장 마고사키 우케루(孫崎享)는 "일본 외무성은 미국에 너무 의존한 나머지 독자 정보수집을 경시해 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영향을 주고 있다.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도쿄=김용출 특파원
Mon
20
Jan
2014
[KBS]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무상 3억불의 비밀"
http://www.youtube.com/watch?v=rztvObkWXJY&list=RDrztvObkWXJY
[동아일보] 2013-09-09 03:00:00 편집
[세계의 눈/오코노기 마사오]구조화하는 한일 역사마찰
Thu
16
Jan
2014
[아시아경제 박소연 오주연 이현주 기자]엔저현상으로 유통가에도 일본인 엑소더스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격하게 냉각된 한·일 관계 때문에 일본인 관광객들이 줄어든 데다가 엔화 약세까지 더해져 면세점, 호텔 등 유통가에서 일본인 관광객들이 자취를 감췄다. 일본 현지에 진출한 업체들도 환율로 인한 매출손실 때문에 울상을 짓고 있다.
Sat
11
Jan
2014
명동 "이랏샤이마세"의 실종엔화 하락, 이상 한파 등으로 日관광객 30~40% 감소… 앞으로 타격 더 클수도
송지유 기자, 이지혜 기자, 전혜영 기자, 김태은 기자|2013.01.11 17:53
|